'내 손으로 모은 10만 원에 나라가 30만 원까지 얹어 주는' 기회, 청년내일저축계좌가 2025년에도 어김없이 돌아왔습니다. 올해는 특히 근로‧사업소득 상한이 월 250만 원으로 상향돼 더 많은 청년이 문을 두드릴 수 있어요. 단 2주, 5월 2일(금)~5월 16일(금)(일부 지자체 21일까지) 동안만 신청을 받으니, 지금부터 체크리스트를 꽉 채워 보세요! 💰
1. 내가 자격이 될까? ― 3대 필터
구분 | 연령 | 월 근로‧사업소득 | 가구소득 |
---|---|---|---|
차상위 이하 | 15~39세 | 10만 원 이상 | 중위소득 50% 이하 |
차상위 초과 | 19~34세 | 50만 원 초과 ~ 250만 원 이하 | 중위소득 50% 초과 ~ 100% 이하 |
1. 가구소득은 '소득인정액'을 기준으로 판정합니다.
(기초생활수급자·차상위자는 조건 자동 충족)
2. 근로·사업소득은 신청 직전 3개월 평균으로 보니, 대학교 서버 과제 알바처럼 일회성 수당은
빠질 수도 있습니다.
3. 39세까지 열어 둔 '차상위 이하 트랙' 덕분에
사회초년생부터 경력 10년 차까지 폭넓게 도전 가능!
2. 얼마를 모을 수 있을까? — 매칭 구조
1. 저축기간: 3년 (군 입대·임신·출산·육아휴직 시 총 2년까지
적립 중지 가능)
2. 내가 넣는 돈: 월
10만 원 이상(50만 원까지 자율 증액 가능, 정부지원은 10만 원
기준)
3. 정부가 얹어 주는 돈차
1) 상위 이하:
월 30만 원 (1:3 매칭) ✨
2) 차상위 초과:
월 10만 원 (1:1 매칭)
4. 만기 예상액(10만 원 저축 기준)
1) 차상위 이하: 본인 360만 + 정부 1,080만 + 이자 ≒
1,500만 원+
2) 차상위 초과: 본인 360만 + 정부 360만 +
이자 ≒ 750만 원+
※ 이자는 은행별ㆍ금리조건마다 다르지만, 비과세 혜택 없이 일반과세(15.4%)가 적용돼요.
3. 세 가지 '필수 숙제' 📝
1. 근로 유지: 3년 내내 소득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. 중간에 실직해도 3개월 이내 재취업하면 '선의 유지'로 인정.2. 교육 이수: 총 10시간(온라인 8시간 + 오프라인 2시간) 금융교육을 받으면 끝.
3. 자금사용계획서: 만기 6개월 전 제출. 주택 마련·교육·창업·훈련 등 자립 목적만 허용되고, 사용 후 '증빙' 반드시 업로드!
이 세 가지를 놓치면 정부지원금이 '그대로' 사라질 수 있으니 달력에 빨간색으로 표시하세요.
4. 신청 A to Z
단계 | 해야 할 일 | 팁 |
---|---|---|
사전 점검 | 복지로 '자산형성지원 모의계산' | 결과 캡처해 두면 상담 때 편리 |
서류 준비 | 신분증, 참여신청서, 재직증명서·사업자등록증·급여명세서 등 근로 확인 서류 | 급여가 현금이면 4대 보험 가입자 명부로 대체 |
신청 | ➊ 온라인 : 복지로 ➋ 오프라인 : 주민센터 방문 | 첫날 서버 폭주! 05:00~07:00 '새벽 접수'가 비교적 한산 |
심사(약 6~8주) | 시·군·구에서 가구재산·소득 확인 | 청년 본인 통장 압류 기록이 있으면 탈락 가능 |
계좌개설 | 시·군·구 승인 문자 수신 후 지정 은행 방문 | 하나·농협·신한 등 8개 은행, 통장 명칭은 '청년내일저축계좌' |
5. 흔히 묻는 Q&A
1. Q. 청년희망키움·청년저축계좌랑 중복 가능?
A. 불가합니다. 이미 가입했다면 기한 내 해지 후 재지원해야
해요.
2. Q. 월급이 갑자기 260만 원으로 올랐어요.
월평균 3개월이 250만 원 초과하면 '사후관리'에서 탈락될 수 있습니다.
조정휴직·소득감소 증빙이 있으면 예외 인정 사례도 있어요.
3. Q. 회사 관둬도 계속 납입 가능?
3개월 안에 재취업하면 유지, 3개월 넘기면 탈락. 이때까지 낸 저축액과 이자는
돌려받지만 정부지원금은 전액 환수돼요.
4. Q. 만기 후 쓰임새는?
주택 구입·전세, 본인·자녀 대학 등록금, 국가공인 자격증‧창업자금 등으로 제한.
'게임 코인', '해외여행'은 No! 증빙 미제출 시 지원금 환수.
6. 전략적 활용 TIP 🔍
1. 적립 중지 제도를 적극 활용하세요. 군 입대·출산·육아휴직
땐 최대 24개월 멈췄다가 재개 가능!
2. 자동이체일은 은행 영업일 기준 '전월 23일~당월 22일' 중 자유 지정. 마지막 날 22:00까지
입금돼야 해당 월로 인정됩니다.
3. 저축액 증액은
자유지만, 정부지원은 10만 원 한도라 10만 원 초과분은 순수 내 돈입니다. 3년
뒤 목돈은 크지만 '정부 매칭률'은 떨어진다는 점 기억!
7. 마지막 체크리스트 ✅
1. 자격 3요건(연령·가구소득·근로소득) 충족
2. 필수 서류
미리 스캔본까지 준비
3. 신청 기간 5/2 – 5/16 (지자체
연장 여부 상시 확인)
4. 근로 유지·교육 이수·계획서
달력 일정 표시
짧은 신청 창, 긴 보너스 레이스. 슈퍼 세이브 모드로 3년을 달리면 최대 1,500만 원이 여러분 통장에 착륙합니다. 올해도 '부자 청년' 타이틀, 놓치지 마세요! 💸